본문 바로가기

BMW드라이빙센터

(8)
[6] BMW 그룹 코리아 30주년: 가슴 뛰게 하는 바로 그 알파벳, 30주년 속 'M'의 발자취 - 고성능 대표주자 BMW M이 한국 시장에서 유독 사랑받는 이유 지난 5월 31일과 6월 1일. 영종도 드라이빙 센터가 뜨거운 열기로 가득 찼습니다. 'BMW M 페스트 2025'가 열렸기 때문이죠. 전시차의 면면은 화려하기 그지없습니다. 국내 판매 중인 30여 종의 M 모델을 비롯해 국내 최초로 공개하는 최신 모델과 역사적인 헤리티지 모델까지 나왔죠. 이밖에 드리프트 퍼포먼스도 관람하고, 드라이빙 체험도 하고, 다양한 이벤트도 즐길 수 있는 자리였습니다. M 팬은 물론 자동차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푹 빠져들 이벤트였죠. M FEST에 가보지 못했다고 실망할 필요는 없습니다. BMW M 오너는 물론이고 M에 관심만 있다면 누구나 얼마든지 즐길 거리가 있으니까요. 고성능 브랜드의 대표로 통하는 BM..
[체험기] 오직 BMW만 가능한 ‘BMW M FEST 2025’, 그 특별한 현장 속으로 - BMW M 마니아들을 위한 아주 특별한 축제, ‘BMW M FEST 2025’ BMW M은 뜨거운 열정을 가진 브랜드입니다. BMW를 대표하는 고성능이란 수식어로는 설명이 부족하죠. 차를 잘 아는 마니아부터 이제 막 운전에 첫걸음을 뗀 이들까지 M을 꿈꾸는 사람들의 수는 셀 수가 없을 텐데요. BMW M이 단순히 성능과 속도를 지향하는 브랜드였다면 지금의 명성은 없었을 겁니다. M 브랜드는 늘 꿈꾸는 이들과는 소통하며, 오너들에게는 매 순간 특별한 시간을 선사해 주기 때문이죠. 그동안 M이 걸어온 발자취를 따라 걷다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올해는 BMW 그룹 코리아가 한국 시장에 진출한 지 30주년이 되는 특별한 해입니다. 수입차 브랜드로서 서른 번째 생일은 남다른 의미로 다가오기도..
[2] BMW 그룹 코리아 30주년: 역사에 남을 ‘뜻깊은 순간들’ - 한국 자동차 시장과 사회에 변화를 이끌어온 ‘최초’와 ‘최다’ 기록들   BMW 그룹 코리아는 지난 1995년 7월 국내 자동차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국내 수입자동차 브랜드 중에서 최초로 설립된 현지 법인이죠. 설립 첫 해에 700여 대를 판매하던 BMW의 연간 판매량은 꾸준하게 성장하여 현재는 연 7만대 이상으로 늘었고, 2024년 12월 기준 국내 누적 판매량 80만대를 돌파했습니다. BMW 그룹 코리아의 양적인 성장은 수입차 시장의 발전은 물론 한국 사회와 문화에도 다양한 모습으로 파고들어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었습니다.  BMW 그룹 코리아가 수입차 시장과 한국 사회 발전에 끼친 영향은 각종 기록으로 나타납니다. ‘최초’, ‘최다’, ‘유일’ 등 다양한 타이틀이 붙은 기록들은 BMW 그룹 코리아..
10주년 맞아 새롭게 단장한 BMW 드라이빙센터를 가보다 - 150만명 다녀간 BMW 드라이빙센터 리뉴얼, 무엇이 어떻게 바뀌었나- 드라이빙 프로그램의 재미는 그대로, 브랜드 경험은 더욱 풍성하고 매끄럽게!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자동차 복합 문화공간인 BMW 드라이빙센터가 올해로 10번째 생일을 맞이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10년 전인 2014년 7월, 인천 영종도에 자리 잡은 드라이빙센터는 BMW 그룹 내에서도 독일과 미국에 이어 세 번째이자 아시아에서는 유일하다는 점에서 많은 화제를 불러일으켰죠. 축구장 33개 크기의 BMW 드라이빙센터는 트랙 체험 시설을 비롯해 다양한 복합 문화 공간으로 남녀노소뿐만 아니라 가족 단위의 방문객도 찾는 지역의 대표 명소로도 손꼽히는 곳입니다.  개장 이후 올해 5월까지 드라이빙센터를 찾은 누적 방문객 수는 무려 150만 명..
BMW 드라이빙 센터 10주년, 진정성의 의미를 깨닫다 - 한국 자동차 문화에 꽃을 피운 BMW 드라이빙 센터- BMW 드라이빙 센터가 만든 10년 간의 노력과 새로운 미래   자동차 역사에는 이정표가 되는 큰 사건이나 전환점이 있습니다. 새로운 형태나 디자인, 이전에 없던 혁신적인 기술, 최초 시도, 세상을 놀라게 한 모델 출시 등 이정표의 종류는 다양하죠. 국내 자동차 역사에서 근래에 이정표가 될 만큼 큰 사건은 무엇일까요? 가장 인상 깊은 사건으로는 BMW 드라이빙 센터 건립을 꼽을 수 있습니다. 21세기 한국 자동차 역사의 대표적인 이정표이죠.  국내 자동차 산업 규모는 세계적인 수준으로 성장해왔지만 그동안 자동차 문화는 사실 불모지였습니다. 자동차 문화를 선도할 복합 공간이나 제조사가 운영하는 트랙은 없었죠. 그런 현실에 건립된 BMW 드라이빙 센터..
[체험기] ‘손맛’을 제대로 느껴볼 수 있는 드라이빙 프로그램, i 스타터 팩 - BMW 드라이빙센터 트레이닝 프로그램: i 스타터 팩, 3시간 40분 진행, 180,000원- BMW 전기차 i4로 긴급 제동, 슬라럼, 카운터 스티어링, 트랙까지 모두 경험해보았다   자동차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특히 BMW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테마파크처럼 설레는 그곳은 어디일까요? 그렇습니다. 바로 BMW 드라이빙 센터입니다. 공들인 공간에 전시한 차량을 구경하는 즐거움도 크지만, 드라이빙 센터인 만큼 직접 드라이빙을 경험해봐야 제대로 즐겼다고 할 수 있죠. 그래서 즐겨봤습니다. 트레이닝 프로그램 중 하나인 ‘i 스타터 팩’! ◆ BMW 드라이빙센터 트레이닝 프로그램 – i 스타터 팩  i 스타터 팩은 ‘스타터 팩’처럼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기본입니다. ‘오너스 트랙 데이’에 참여하거나 드리프트..
돈과 마음 씀씀이로 여실히 드러난 BMW의 한국 사랑 - “이건 진짜 찐이야!” 수입차 업계 리더의 품격 입증한 BMW- 한국 시장을 대하는 진심이 보이는 BMW의 다양한 활동들   돈의 씀씀이를 보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있다고 합니다. 한 사람의 사고, 행동, 성향, 가치관 등이 지출에 나타난다고 하죠.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디에 돈을 쓰는지 보면 기업의 성격과 추구하는 방향이 드러나죠. BMW 그룹을 보면 이 말이 확 와닿습니다.  BMW 그룹이 2023년에 한국 기업의 부품을 구매한 비용은 45억 유로, 우리 돈으로 6조 5,350억 원입니다. 6조 5,000억 원대 금액이 어느 정도인지 감이 잘 안 잡히죠. 2023년에 BMW 그룹 코리아가 올린 매출이 6조 1,066억 원입니다. 매출보다 많은 비용을 한국 기업 부품..
수소차의 미래를 보여줄 iX5를 직접 만나보고 왔습니다 풍성한, 그래서 더 실전적인 – BMW iX5 하이드로젠 데이 아직은 시판용이 아닙니다. 그러나 시승 소감만으로 판단한다면 지금 바로 판매해도 될 정도로 충분하다는 결론입니다. BMW가 최근 선보인 수소연료전지차 iX5 하이드로젠 이야기입니다. 물론 가격 경쟁력은 아직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당연하지요. 파일럿 플랜트에서 생산한 시제품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다른 부분들은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iX5는 이미 완벽한 패키지였기 때문입니다. X5를 베이스로 선택한 이유, 다른 수소 연료전지차와는 다른 파워트레인 레이아웃, 주행 특성, 그리고 무엇보다도 수소를 선택한 이유가 모두 일관성을 갖고 iX5라는 모델 안에 담겨 있습니다. 사실, BMW가 꿈꾸는 수소의 미래는 ‘BMW iX5 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