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MW 그룹 코리아 30주년

[1] BMW 그룹 코리아 30주년: 한국과 함께한 BMW 그룹 코리아의 30년

- BMW 그룹 코리아의 첫걸음과 발자취

- 글로벌 리더 BMW의 한국을 향한 사랑과 헌신

 


 

BMW 그룹 코리아의 첫걸음

 

1995년 한국에 출시된 BMW 5시리즈 3세대 모델

 

BMW 그룹 코리아는 지난 19957월 국내 자동차 시장에 진출해 올해 한국법인 설립 3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수입차 최초 현지 법인이죠. 진출 당시인 1995년만 해도 연간 수입차 전체 판매는 6,921, BMW 판매 대수는 700여 대에 불과했습니다. 이후 30년 동안 수입차 시장은 35배나 성장해 국내 전체 자동차 시장의 18~20%를 차지할 정도로 커졌습니다.

 

1995년 한국에 출시된 BMW 3시리즈 3세대 모델

 

BMW 그룹 코리아는 수입차 역사의 산증인으로 시장과 함께 발전해 왔습니다. 적극적으로 활동과 투자를 펼치며 미약한 수입차 시장을 확대하는 데 주력했죠. 1997년 말 IMF 외환위기 때 많은 해외 기업과 수입차 업체가 철수했지만, BMW 그룹은 한국 시장의 잠재력을 확신하며 투자를 이어갔습니다. 수입차 시장과 함께하며 발전한 BMW 그룹 코리아는 현재 임직원 수 325, 딜러사 포함 국내 직간접 고용 인원 수 17,830명에 이르는 규모로 성장했습니다.

 

2005년 한국에 출시된 MINI Cooper 모델
1999년 한국에 출시된 BMW 모토라드 R 1100S 모델

 

BMW 그룹 코리아는 BMW 외에도 MINIBMW 모토라드를 도입해 새로운 시장을 열고 다양한 문화를 확산하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MINI2005년 진출해 국내 최초로 프리미엄 소형차 시장을 개척하며 올해 2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BMW 모토라드 또한 지난 1999년 국내 현지 법인으로 진출해 프리미엄 모터사이클 브랜드로서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건전한 모터사이클 문화를 정착시켰습니다.

 

BMW 그룹 코리아의 발자취

 

BMW 8시리즈
MINI 일렉트릭

 

BMW 그룹 코리아가 30년 동안 걸어온 발자취를 살펴보면 각별한 한국 사랑이 눈에 띕니다. 단순히 판매량을 늘리는 데만 집중하지 않고, ‘전 세계 어느 국가에 진출하든 해당 국가의 기업시민으로서 최선을 다한다라는 BMW 그룹 고유의 기업 철학을 실천했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실제로 BMW 그룹 코리아는 국내 토종 기업 못지않게 다양한 투자와 활발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며 우리 사회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습니다. 한국 시장과 사회와 동반 성장하려는 BMW 그룹 코리아의 노력은 각종 기반 시설과 프로그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BMW 드라이빙 센터

BMW 드라이빙 센터

 

BMW 드라이빙 센터는 지난 2014년 인천 영종도에 문을 열었습니다. BMW 그룹 내에서 트랙과 고객 체험 시설이 한데 모인 전 세계 유일의 자동차 복합문화공간이죠. 초기 투자 비용 770억원, 추가 확장 비용 130억원, 10주년 대규모 리뉴얼 비용 49억원 등 모두 950여억원이 투입된 대규모 시설입니다. 수입차 업체가 현지 시장에 엄청난 규모의 투자를 진행해 전에 없던 공간을 만들어 큰 화제를 모았죠.

 

BMW 드라이빙 센터

 

지난해 개관 10주년을 맞이한 BMW 드라이빙 센터는 국내에 새로운 자동차 문화를 조성하는데 기여했다고 평가받습니다. 202412월 기준 방문객 수는 162만명에 이릅니다. 이 중에서 드라이빙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객만 25만명이 넘죠. 10년 동안 BMW 그룹 자동차 1,377대가 드라이빙 프로그램에 투입됐고, 이들이 달린 누적 주행거리는 지구 186바퀴에 이르는 7482,962km에 이릅니다.

 

BMW 부품 물류센터

 

BMW 그룹 코리아 부품 물류센터

 

BMW 그룹 코리아는 진출 초기부터 부품물류센터에 공을 들였습니다. 1996년 인천, 2006년 경기도 이천에 부품물류센터(Regional Distribution Center, RDC)를 만들었고, 2017년에 1,300억원을 투자해 경기도 안성에 새로 건설해 이전했습니다. BMW 그룹의 해외법인 중 세계 최대 규모이고, 수입차 브랜드 중에서도 최대 규모입니다.

 

BMW 그룹 코리아 부품 물류센터

 

놀라기는 이릅니다. 2027년까지 650억원을 추가로 투자해 31,000㎡가량 증축할 예정입니다. 증축이 완료되면 전체 보관 규모는 현재와 비교해 54% 늘어난다고 하죠. 현재 BMW 부품물류센터는 6만 종의 부품을 보유하고 있고 부품 가용성도 본사 기준을 웃도는 95%에 이르러 효율적인 보관과 적시 공급이 가능합니다. 이 밖에도 스마트 물류 시스템에 AI를 적극 활용하고, 현장 근무 직원의 건강을 고려한 인체공학적인 공법을 도입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소방 시설을 국내 최초로 적용하는 등 첨단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BMW 그룹 R&D 센터 코리아

 

BMW 그룹 R&D 센터 코리아

 

연구개발 시설인 BMW 그룹 R&D 센터 코리아도 지난 20244월에 BMW 드라이빙 센터에서 인천 청라국제도시로 확장 이전 개관했습니다. 한국이 BMW 그룹 내에서 5위에 해당하는 큰 시장인 만큼 프리미엄 수입 자동차 브랜드 중 유일하게 단독 건물로 운영하죠. 새로운 BMW 그룹 R&D 센터 코리아는 사무 공간, 정비와 시험실, 인증 시험실, 전기차 충전기 시험동, 연구실 등 테스트랩을 갖추고 있습니다.

 

BMW 그룹 R&D 센터 코리아

 

50여 명의 인력이 상주하며 국내에 수입되는 차량의 인증과 제품 개발 업무를 지원하는 동시에 국내 기업, 연구시설, 대학과 협력해 내비게이션, 음성인식, UI 프로토타입 등을 함께 개발하는 역할을 해냅니다. 이는 한국 시장의 중요성을 알고 한국 소비자에게 최적화된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

 

BMW 차징 스테이션

 

BMW 그룹 코리아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투자에도 꾸준하게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2년 프리미엄 공용 전기차 충전 인프라인 BMW 차징 스테이션을 처음으로 선보인 후 1,000기 이상의 충전 인프라 구축 계획을 세우고 실행에 옮겼죠. 현재 2024 12월까지 설치한 누적 충전기 대수는 2,125기에 이릅니다. 국내 자동차 업계 중 가장 많은 설치 대수죠.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2025년에는 600기를 추가로 설치해 모두 3,000기에 이르는 충전기 구축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BMW 차징 허브 라운지

 

신개념 전기차 충전소인 ‘BMW 차징 허브 라운지(BMW Charging Hub Lounge)’도 눈여겨볼 시설입니다. 20249, 서울 중구 회현동에 공식 개소한 BMW 차징 허브 라운지는 BMW 그룹 내 전 세계 최초로 마련한 라운지형 급속 충전소입니다. 이곳은 BMW 전기차 오너뿐만 아니라 모든 브랜드 전기차 이용자가 이용 가능하며,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안 고급스러운 라운지에서 쉬면서 BMW 그룹 코리아의 최신 모델을 편안하게 볼 수 있는 체험형 충전 공간이죠.

 

한국 기업과 동반 성장 도모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과 BMW그룹 올리버 집세 회장

 

BMW 그룹 코리아는 시설 투자와 더불어 한국 기업과 상생 관계를 이어 나가는 데도 적극적입니다. BMW 그룹이 2023년 국내 기업으로부터 구매한 부품은 65,350억원어치에 이릅니다. 같은 해 BMW 그룹 코리아의 매출인 61,066억원을 웃도는 규모죠. BMW 그룹이 한국 기업에 지출하는 부품 구매액은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지난 2010년부터 2024년까지 한국 협력업체에서 구매한 부품 가격의 누적액은 무려 37조원에 이릅니다.

 

MINI 컨트리맨

 

BMW 그룹은 삼성 SDI, 삼성 디스플레이, LG 그룹, 한국타이어, 세방전지 등 30여 개 한국 협력업체로부터 전기차 배터리와 디스플레이를 비롯해 다양한 부품을 구매합니다. 판매에서 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안정적으로 이어가고 있죠. 앞으로도 한국 사회와 동반 성장할 수 있는 다양한 투자 활동을 전개해 외국계 기업이 한국 사회에 기여하게 되는 선순환 경제 구조를 강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BMW 코리아 미래재단

 

BMW 코리아 미래재단 주니어 캠퍼스

 

BMW 그룹 코리아는 시설과 부품 같은 물적인 투자뿐만 아니라 인재 양성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미래재단은 좀 더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자 지난 2011BMW 그룹 코리아가 수입차 업계 최초로 설립한 비영리 재단법인입니다. 지속 가능한 성장과 한국 사회의 발전, 친환경 리더십과 글로벌 인재 양성, 기부 문화 확산 등 한국의 미래를 짊어질 어린이와 학생을 대상으로 각종 사회공헌 목적 사업을 전개하고 있죠.

 

BMW 코리아 미래재단 주니어 캠퍼스

 

초등학생 대상 과학 창의 교육 프로그램인 주니어 캠퍼스’, 지속 가능한 미래를 이끌어갈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위한 자동차 산업 특화 직무 강연 프로그램 영 탤런트 드림 프로젝트’, 전국의 공익 행사에서 진행되는 환경 교육 프로그램 넥스트 그린 투-고 환경교육’, 글로벌 아동 권리 전문 NGO 굿네이버스와 함께 아동의 신체와 마음 건강 증진을 지원하는 희망ON학교등 다양한 사회 공헌 캠페인을 벌이고 행사를 후원합니다. 현재까지 BMW 코리아 미래재단의 인재 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인원은 329,500여명에 이릅니다.

 

자동차 분야 특화 인재 양성 프로그램

 

BMW 어프렌티스 프로그램

 

2004년부터 진행해 온 어프렌티스 프로그램(Apprentice Program)’은 자동차 전문 기술 인력을 양성하고 BMW 공식 딜러사 취업을 지원하는 산학 협력 프로그램입니다. 2017년부터는 독일의 일·학습 융합한 이원화 직업교육 프로그램인 아우스빌둥(Ausbildung)’을 국내 최초로 도입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미래 자동차 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긴밀한 산학 협력의 결과로 어프렌티스 프로그램 수료생 1,791명과 아우스빌둥 수료생 457명 등 모두 2,248명의 교육생이 BMW 7개 공식 딜러사에 정식 채용됐습니다.

 

고객 만족 실현하는 끊임없는 애프터 세일즈 투자

 

BMW 서비스센터

 

BMW 그룹 코리아는 국내 수입차 업체 중 가장 많은 BMW 81, MINI 40개의 서비스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BMW 그룹 코리아의 워크 베이 숫자와 서비스 인력은 각각 1,856, 2,669명에 입니다. 2,669명의 정비 인력 중 2,438명이 BMW 공식 인증 정비 인력으로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우수한 정비 인력을 육성해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자체 테크니션과 서비스 어드바이저 인증 제도도 운영하죠.

 

BMW 서비스센터

 

전기차 시대에 맞게 전문적인 애프터 세일즈에 체계 구축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2022년부터 전기화 모델 특화 정비 인프라 확충에 주력해서, 현재 전체 공식 서비스센터의 100%81곳에서 PHEV를 포함한 전기화 모델의 점검, 정비, 소모품 교환이 가능합니다. 고전압 배터리나 사고 수리 등 고난도 전기차 정비가 가능한 곳도 42곳이나 됩니다.

 

BMW 테크니션

 

전기차 정비 전문가 배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독일 본사와 함께 전기차 전문 정비 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가 과정을 구성해 고전압 테크니션’, ‘고전압 전문가’, ‘카본 차체 수리 테크니션을 키워내는 중이죠. 체계적인 전문 인력 인증 제도를 갖추고 꾸준히 전기차 정비 전문가를 육성해 BMW 그룹 코리아가 보유한 전기차 전문 정비 인력은 업계 최다 수준인 348명에 이릅니다.

 

BMW 그룹 코리아의 미래

 

BMW 노이어클라쎄 & 노이어클라쎄 X

 

BMW 그룹 코리아는 한국 진출 30주년을 맞아 운전의 즐거움, 내일의 새로움으로(Define Driving Pleasure, Again)’라는 슬로건을 발표했습니다. BMW가 지금까지 핵심 가치로 여겨온 운전의 즐거움을 재정의하고 새로운 시대를 위해 더욱 앞서 나가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죠. BMW 그룹 코리아는 새로운 슬로건과 함께 한국 고객이 보여준 사랑에 보답하고 한국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활동을 꾸준히 이어갈 예정입니다. 앞으로도 한국 사회와 함께 발전을 이어갈 BMW 그룹 코리아의 행보가 더욱 기대됩니다.

사업자 정보 표시
비엠더블유코리아(주) | 한상윤 | 서울 중구 퇴계로 100 (회현동2가, 스테이트타워남산 14층) | 사업자 등록번호 : 211-86-08983 | TEL : 02-3441-7800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14-서울중구-0829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